개요 |
건축물 청소 도급비 산출은 많은 복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척이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일정한 기계의 작동에 의한 표준량이 정해진 것도 아니고 기능에 따라 작업량의 차이도 있고 기계장비 및 도구와 약품의 사용구별에 의하여 현격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합리적인 산출을 하기위해서는 기초자료가 필요하다. |
산출요령 |
건축물 청소관리 도급비 산출을 하기위해서는 |
◎ 작업현장 조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
일상청소와 정기 청소, 특별청소의 구별에 의한 시방서 작성이 중요하다 |
◎ 투입되는 인원수 배정을 책정하고 기계장비와 사용약품을 선정하여야 한다. |
기준의 해설 |
인당기준 |
인당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대부분 장기적 계약에 의한 위탁업무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작업인원이 상주하여 주워진 작업배당 구역을 정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작업배당은 작업의 능률을 측정하여 작업시간의 한계에 준하는 정도로 기준이 된다. 작업능률의 배당은 상주근무자의 출근전의 작업시간을
고려하여 기준을 정한다. 이기준에 의한 작업인원의 수가 정하여 진다. 이렇게 투입되는 작업원에 의하여 정기적으로 작업을하게 되어 일정한 인원수에 의한 작업비 산출을 하게 되므로 인당개념을 갖게 되는 것이다. |
평당기준 |
작업량에 의한 금액의 산출을 의미하는 것으로 완전도급형태를 뜻한다. 작성요령은 작업상태를 파악하여 각 분야별 작업기준을 설정하고 여기에 맞는 사용 품목의 소비량에 따른 금액이 산출되어야 한다. 작업량에 따른 전체금액을 평당으로 확산하는 것을 평당개념으로 한다. |
산출구별 |
작업물건의 제반사항과 시방서를 참고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구별할 수 있다. |
용도별 | 형태 및 구조별층별상태 | 지역 | 시방서 |
일반사무실건물 | 측면적 상태 | 도시의 복판 | 작업범위 |
백화점건물 | 출입문관계 | 도시의 변두리 | 책상외벽 |
병원 | 바닥상재 | 지방, 도시 | 형광등 |
학교 및 연구단지 | 외곽지역 | 대청소 | |
주상복합건물 | |||
지하철역 및 광장 | 외부유리부차상태 | 주변도로비교 | 작업회수 등 |
아파트 | 외곽상태 | ||
스포츠센타 | |||
기타 | 사무실형태 |
|
★ 일시 청소와 장기(정기)청소로
구별하여 산출한다. - 일시청소는 발생사항에 의하여 산출한다. - 정기청소는 표준시방서에 기초하고 사무실 전용의 건축물을 참고로한 총제적 관리의 월간을 기준함 |